-
열외
열외
모두가 외면한 숨죽인 목소리를 찾아 세상의 열외 속으로 뛰어 들겠습니다.
-
<보육원 아동학대 3> '힐링농장'에서 일어난 일
<보육원 아동학대 3> '힐링농장'에서 일어난 일
2021.12.16소년은 매일 새벽 신에게 기도했다. “하느님은 뭘 하고 계십니까. 저 좀 도와주십시오. 너무 힘듭니다.” 소년의 목소리는 어디에도 닿지 않았다. ‘엄마’를 자처한 수녀들은 소년의 아픔을 외면했다. “삼가면으로 가라”는 말과 함께 소년에게 주어진 건 버스표 한 장. 돌아오는 버스표는 없었다. 서준이의 초등학생 시절은 끔찍한 기억으로 얼룩져 있다. 부산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1학년이 되기 전, 서울 꿈나무마을로 올라온 그는 보육교사로부터 가혹한 학대를 당했다. 공부를 못한다는 이유로, 문제를 풀지 못한다는 이유로 고문에 가까운 기합이 4~5시간씩 이어졌다. 보육교사는 화장실 바닥에 물을 뿌렸다. 서준이는 엉덩이를 45도 들고 손을 앞으로 나란히 한 채 맨발로 서 있어야 했다. 나란히 내민 팔 위엔 무거운 책이..
-
<보육원 아동학대 2> 수녀도 때렸다
<보육원 아동학대 2> 수녀도 때렸다
2021.12.16“신부님(창설자 알로이시오 슈월츠 신부)께서 가난의 상징이라면서 수녀님에게 고무신을 신도록 했어요. 하지만 수녀님은 그 고무신으로 우리 발바닥을 사정없이 후려쳤죠.” - 정경아(가명) “외부 사람들이 오는 행사가 있으면 수녀님이 ‘집에 가서 계산하자’는 말을 자주 하곤 했어요. 잘못한 애들을 기억해놨다가 시설로 돌아가서 때리는 거에요.” - 김서희(가명) “수녀님께 ‘한심하다’ ‘덜 떨어졌다’ ‘호구’ 같은 말을 매일 듣고 자랐어요. 뭘 잘못한 것도 없는데 늘 수녀님 앞에서 무릎을 꿇고 빌었어요.” - 조두영(가명) 는 지난 10월 아동보육시설인 서울 꿈나무마을 아동학대 의혹에 대해 보도했다. 이후 서울 꿈나무마을(2020년 위탁 종료)과 부산 소년의집, 두 시설의 운영 주체인 재단법인 마리아수녀회에 대..
-
<고아 자립정착금> 18년 전 사라진 250만원의 행방
<고아 자립정착금> 18년 전 사라진 250만원의 행방
2021.11.02당사자도 모르게 계좌에서 250만원이 빠져나갔다. 입출금 간격은 불과 56초. 18세 고아 박민우씨의 자립정착금은 그렇게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18년 뒤에야 들춰본 거래내역서에는 ‘영락보린원’이라는 낯익은 이름이 쓰여 있었다. 그가 5세 때부터 14년 동안 집으로 여긴 곳, 보육원이었다. '부모를 여의거나 부모에게 버림받아 몸 붙일 곳 없는 아이' 고아의 사전적 의미다. 최근에는 ‘보호 대상 아동’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당하지 않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아동복지법 3조 4호)으로 그 범위도 확대됐다. 보호 대상 아동(이하 보호아동)은 보건복지부 현황 파악 기준 2000년 9..
-
남자는 아직도 아이들을 찾는다
남자는 아직도 아이들을 찾는다
-
아이들은 왜 산에서 눈을 감았을까
아이들은 왜 산에서 눈을 감았을까
-
경찰은 무엇을 했나
경찰은 무엇을 했나
-
아버지의 한숨
아버지의 한숨
-
지옥에서의 30일
지옥에서의 30일
-
끝나지 않은 악몽
끝나지 않은 악몽
-
심영섭 교수의 사건 분석
심영섭 교수의 사건 분석
-
올해 13,000명이 당했다
올해 13,000명이 당했다
-
국회도 외면했다
국회도 외면했다
-
결국 국가가 해결해야...
결국 국가가 해결해야...